저번 GA4와 UA 비교 포스트에서 ga4의 이벤트들에 대해 잠깐 언급했었습니다. GA4는 UA와는 다르게 데이터를 이벤트를 기준으로 집계합니다. 그만큼 GA4에서는 이벤트가 중요하고 이벤트에 대해 잘 아는 것이 GA4를 잘 사용하는 기초라고 생각해서 이번 포스트에는 GA4의 이벤트들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보겠습니다. 이벤트 개요 이벤트란? : 웹 사이트 또는 앱에서 발생하는 특정 동작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이벤트는 사용자의 상호작용, 행동 또는 특정 활동을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ex. 클릭, 페이지 뷰, 구매 등 GA4에서 이벤트의 구성요소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벤트 이름 (Event Name) 이벤트를 식별하는 이름. ex. 회원가입 완료, 페이지 스크롤, 로그인 제..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는 웹사이트나 앱에서 방문자들의 행동을 분석하여 통계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GA4는 이전 버전의 구글 애널리틱스와 달리 머신러닝을 활용한 AI기반 데이터 분석과 유저 분석 기능을 강화한 새로운 버전입니다. 이번에는 GA4에서 경로 탐색보고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로 탐색보고서(Path Analysis Report) 경로 탐색보고서는 방문자가 사이트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보고서를 통해 방문자들이 어떤 경로로 웹사이트를 이용하는지, 어디서 이탈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탐색창에서 경로 탐색 분석 템플릿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입경로 탐색 분석과 경로 탐색 분석 두 템플릿을 확인할 수 있는데 두 용어가 헷갈릴 ..
Google Analytics를 적용한 뒤에는, 다음과 같이 사용자 수나, 조회수가 잡히게 되는 걸 확인하셨을 거에요. 하지만 사용자의 수와 행동을 파악하고 싶을 때, 스스로의 접근이 집계되면 통계에 방해가 될 수 있을 겁니다. 오늘은 Google Analytics에서 특정 접근을 제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내부 트래픽 설정하기 1. Google Analytics에 접속하여 관리 탭에 접속합니다. 2. 속성 탭의 '데이터 스트림'에 접속합니다. 3. '웹' 탭에 접근한 후, 설정하려는 블로그를 선택합니다. 4. 아래와 같이 세부 정보가 나올 거에요, 여기서 태그 설정 구성을 클릭해주세요. 5. 설정 탭의 '모두 표시'를 선택한 후 내부 트래픽 정의에 접근하세요. 6. 만들기를 클릭하세요 ..
실시간 보고서 개요 '실시간' 보고서는 현재 웹사이트에 방문이 얼마나 많은지를 확인하기 위한 보고서 모음입니다. 실시간 보고서에서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준은 '지난 30분 동안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실시간 보고서 - 사용자 위치 개요 화면에서 위에 보이는 지도를 보면 실시간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접속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파란 동그라미'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그 지역과 관련된 비교가 생성됩니다. 오른쪽에 있는 주황색 차트가 생성된 비교 차트이고 이렇게 하면 전체 실시간 사용자와 선택한 지역의 실시간 사용자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보고서 - 비교 추가 자신이 원하는 조건을 설정해서 전체 사용자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왼쪽에 빨간 박스에 원하는 비교 ..
UA에서 GA4로의 변화 현재 구글은 공식적으로 2023년 7월부터 UA의 서비스를 종료하고 GA4만을 수집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GA4로 변화하면서 기존 UA버전과는 많은 차이점 (데이터 수집 방법, 보고서 디자인, UI 등)이 생겼습니다. 저는 처음 google analytics를 공부하면서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을 모르고 UA를 기준으로 작성된 책을 통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책에 있는 google analytics의 모습과 제가 세팅한 google analytics의 모습이 사뭇 달라서 모습과 책에서 설명해주고 있는 화면이 달라서 이게 뭐지...? 내가 세팅을 잘못했나? 하고 계정도 몇번 다시 만들어 세팅해보고 했는데 여전히 책과는 다른화면에 약간의 멘붕이 왔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별건..
google analytics란 2005년 11월 14일 출시된 웹 로그 분석 도구로 줄여서 GA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웹로그는 쉽게 말해서 자신의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방문했는지 등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파일입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그냥 뭉쳐저 있다면 어떠한 정보도 뽑아낼 수 없는 쓰레기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들이 남긴 데이터들을 잘 분석하면 마케팅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것을 도와주는게 바로 Google Analytics입니다. 특히 몇년전부터 인터넷 사용이 매우 보편화되고 이젠 사람과 떼놓을 수 없는 기술이 되면서 사용자들의 수많은 정보는 데이터로 웹상을 떠돌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들을 잘 분석하는 것은 서비스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되고 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