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는 웹사이트나 앱에서 방문자들의 행동을 분석하여 통계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GA4는 이전 버전의 구글 애널리틱스와 달리 머신러닝을 활용한 AI기반 데이터 분석과 유저 분석 기능을 강화한 새로운 버전입니다. 이번에는 GA4에서 경로 탐색보고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로 탐색보고서(Path Analysis Report)
경로 탐색보고서는 방문자가 사이트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보고서를 통해 방문자들이 어떤 경로로 웹사이트를 이용하는지, 어디서 이탈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탐색창에서 경로 탐색 분석 템플릿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입경로 탐색 분석과 경로 탐색 분석 두 템플릿을 확인할 수 있는데 두 용어가 헷갈릴 수 있어 우선 경로 탐색보고서와 유입경로 탐색 보고서의 차이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입경로 탐색 분석이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전 어떤 경로로 웹사이트로 유입되었는지를 분석합니다.검색 엔진에서 유입된 트래픽,소셜 미디어에서 유입된 트래픽,광고 캠페인에서 유입된 트래픽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또한, 각각의 유입 경로에서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여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경로 탐색 분석이란
사용자의 웹사이트 내에서 페이지 이동 경로를 분석합니다. 특정 페이지에서 출발하여 다른 페이지를 방문한 후 마지막으로 도착한 페이지까지의 경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동한 경로 상에서 페이지 이탈률,이탈한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과 웹사이트 구성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두 탐색 방법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경로 탐색보고서 사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경로 탐색보고서 사용 방법
1. 구글 애널리틱스에 로그인한 후, 대시보드에서 원하는 웹사이트를 선택합니다.
2. 좌측 메뉴에서 "분석"을 선택한 후, "경로 탐색"을 클릭합니다.
3. 경로 탐색보고서에서는 페이지뷰, 이탈률, 평균 세션 시간 등의 기본적인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로별 이탈률, 총 경로수, 경로의 평균 길이 등 세부적인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경로별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경로에서 이탈이 많이 발생하는지 파악합니다. 이탈률이 높은 경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합니다.
경로 탐색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
경로 분석: 방문자가 사이트에서 어떤 경로로 움직이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어떤 페이지에서 이탈하는지, 어떤 경로에서 더 많은 이탈이 발생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로별 지표 분석: 경로별 페이지뷰, 세션, 이탈률, 평균 체류 시간 등의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경로를 파악하고, 해당 경로의 성과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색인 분석: GA4에서는 색인(Index)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페이지뷰를 기준으로 유사한 페이지들을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페이지들의 구성이나 내용의 유사성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유사한 페이지들의 성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필터 적용: 경로 탐색보고서에서는 필터를 적용하여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 방문한 사용자들의 경로, 특정 지역에서 방문한 사용자들의 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로 탐색보고서 활용 방안
이탈률을 낮추기 위한 개선 방안 마련: 경로 탐색보고서를 통해 이탈률이 높은 경로나 페이지를 파악하여, 해당 페이지의 디자인이나 콘텐츠 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탈률이 높은 사용자들의 행동을 분석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추가적인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캠페인 효율 분석: 캠페인을 진행할 때, 경로 탐색보고서를 활용하여 캠페인 유입경로와 해당 경로에서의 전환율을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캠페인의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내 페이지 구성 개선: 경로 탐색보고서를 활용하여 페이지 구성이나 내용의 유사성이 높은 페이지들을 그룹화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 내 페이지 구성을 개선하거나, 비슷한 내용을 가진 페이지를 통합하여 사용자의 헷갈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후 GA4(Google Analytics 4): 경로 보고서(2)에서는 경로 분석, 경로별 지표 분석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