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에서 GA4로의 변화
현재 구글은 공식적으로 2023년 7월부터 UA의 서비스를 종료하고 GA4만을 수집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GA4로 변화하면서 기존 UA버전과는 많은 차이점 (데이터 수집 방법, 보고서 디자인, UI 등)이 생겼습니다.
저는 처음 google analytics를 공부하면서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을 모르고 UA를 기준으로 작성된 책을 통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책에 있는 google analytics의 모습과 제가 세팅한 google analytics의 모습이 사뭇 달라서 모습과 책에서 설명해주고 있는 화면이 달라서 이게 뭐지...? 내가 세팅을 잘못했나? 하고 계정도 몇번 다시 만들어 세팅해보고 했는데 여전히 책과는 다른화면에 약간의 멘붕이 왔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별건 아니고 GA4로 업그레이드가 될때 많은 부분이 변해서 달라진 거였더라고요.
저는 특히 관리탭에서 책에는 계정, 속성, 보기 이렇게 3가지 섹션이 있는데 제가 설정한 곳에서는 계정, 속성 이렇게 두가지만 있어서 왜 나는 보기 섹션이 없지??? 하면서 되게 오랫동안 고민했었어요 ㅠㅠ
하지만 결국 이런 차이는 GA4로 변화하면서 UA와 GA4의 다양한 부분에서 차이점이 생겨서 그런것이고 이제 밑에서 UA와 GA4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UA와 GA4의 차이점
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했습니다.
기존 UA 버전과 비교해서 보고서, 홈화면 등 다양한 부분에서 UI 가 변했습니다.
밑에 사진은 두 버전의 홈화면 비교입니다.
특히 메뉴부분이 굉장히 달라졌습니다. 제가 많이 헷갈렸던 부분들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기존보다 메뉴부분의 분류 개수가 줄었고 특히 보고서 부분에 아래에 바로 나타나있던 보고서 종류들이 이젠 보고서의 하위로 들어가서 클릭해야 보입니다. 이외에도 탐색 부분이 생기기도 했고요.
이 뿐만 아니라 보고서의 디자인들도 변했고, 또 위에서 보여드린것 처럼 관리탭에 분류들도 많이 변해서 표시되고 있습니다.
2.데이터 집계 방식 차이
UA는 세션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수집했다면 GA4는 이벤트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근데 저는 아직 데이터 지식이 많이 없어서 세션, 이벤트 기준이라는게 어떤걸 의미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그래서 세션과 이벤트에 대해 찾아봤습니다.
세션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한 후 종료할 때 까지 이때 오는 사용자의 요청을 하나의 상태로 보는 것, 즉 웹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는 것입니다.
이벤트는 단순하게 브라우저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사건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마우스 클릭, 스크롤과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즉 웹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모든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하나의 섹션안에는 여러개의 이벤트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겠죠?
아래 사진처럼 GA4는 이벤트를 기반을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UA는 세션기준으로 그 안에서 발생하는 페이지 조회, 이벤트, 소셜 등 다양한 요소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이렇게 변하면서 UA는 세션을 기준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같은 사용자더라도 세션이 다시시작되면 새로 집계되는 중복집계의 문제점이 있었지만 GA4부터는 이벤트로 독립적인 처리를 하기 때문에 중복집계가 줄어들었습니다.
3. 히트 데이터의 제한이 없어짐
UA의 경우 한달 최대 1000만 히트까지만 무료로 UA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GA4에서는 이러한 제한이 없어졌습니다. 물론 500개의 이벤트 제한이 있긴 하지만 이벤트가 500개가 넘지 않으면 계속 데이터를 집계할 수 있습니다.
4. 빅쿼리와의 연동
저는 첨에 빅쿼리라는 것을 몰랐기 때문에 빅쿼리가 뭔지 부터 궁금했습니다.
빅쿼리란? 머신러닝, 지리정보 분석,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와 같은 기본 제공 기능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완전 관리형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웨어 하우스 라고하네요.
빅쿼리는 대용량의 복잡한 데이터들을 빠른 속도로 처리해주고 셈플링도 잘 해줘서 기존 UA에서 세그먼트나 맞춤 리포트 같은 기능을 쓰면 데이터가 샘플링 되거나 속도가 느려지기도 하는데 이런 부분을 해소해 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UA때는 빅쿼리는 유료로 연동해야 했지만 GA4부터는 이러한 빅쿼리를 무료로 연동할 수 있다고 합니다.
5. 향상된 측정기능
GA4에서 향상된 측정 기능이라는 것이 생겨났습니다. 원래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이벤트 태그를 직접 만들어서 이벤트를 수집해야 하지만 GA4에서 이벤트 구조가 변하고 자동으로 기본적인 이벤트와 향상된 측정 이벤트를 측정해줍니다.
자동 수집 이벤트 : first_visit(첫방문), session_start(세션 시작), user_engagement(사용자 참여도)
그리고 자동 수집 이벤트의 경우에는 language(언어), page_location(페이지 위치), page_referrer(이전 페이지의 url), page_title(페이지 제목), screen_resolution(화면 해상도) 이렇게 5개의 매게변수가 이벤트 발생시 기본값으로 수집됩니다.
향상된 측정 이벤트 : page_view(페이지 조회), scroll(스크롤), click(이탈클릭), view_search_results(사이트검색), form_start/form_submit(양식 상호작용), video_start/video_progress/video_complete(동영상), file_download(파일 다운로드)
향상된 측정과 같은 경우엔 아래 사진과 같이 설정 할 수 있고 이들은 해당 이벤트 발생시에 자동으로 수집됩니다.
모아진 이벤트들은 관리자탭 -> 속성 -> 이벤트에 들어가면 아래 사진처럼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웹과 앱의 통합
UA의 경우는 웹 로그 분석 기반으로 되어있는데 오늘 날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기도 테블릿을 쓰기도 하고 또한 플렛폼도 많아져서 이것 저것 사용하면서 웹을 씁니다. 따라서 웹로그분석을 기반으로 만든 UA의 경우는 모바일로 웹을 볼시 폰을 껏다키면 새로운 세션으로 인식이 되는 등 중복 인식의 문제점이 있었는데 웹앱을 통합하고 이벤트 기반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GA4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대폭 감소시켜 줄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로그인을 하는 경우 User id를 통해서 개별 사용자가 다양한 기기와 플렛폼에서 사용하더라도 그 활동을 연결하여 분석 할 수 있습니다.
7. 탐색분석
처음 GA4를 세팅하고 탐색부분이 이게 뭐지? 하는 궁금증이 많이 들었던 부분이에요.
그래서 찾아봤더니 기존 UA에 있던 맞춤보고서가 대체된 형태이고 기존 유료버전인 google analytics 360에 있던
기존 UA에 있던 맞춤 보고서가 사라지고 대신해서 탐색분석 기능이 들어왔다고 하네요
또한 기존 유료버전인 google analytics 360에 있던 분석 허브 기능이었는데 무료로 바뀌어 이번에 GA4로 들어온 것이 탐색 분석입니다.
탐색분석에는 유입경로 탐색 분석, 경로 탐색 분석, 동질 집단 분석 등 다양한 템플릿이 제공되며, 자유형식으로 차트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기존 UA에 있는 맞춤 보고서보다 훨씬 자유로운 보고서를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8. 사용자 식별
기존 UA의 경우에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서 User ID와 Cilent ID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지만 GA4부터는 Device ID와 Google Signals 데이터를 추가로 사용자 식별에 적용합니다.
따라서 UA보다 쿠기 의존도가 낮고 사용자를 더 잘 식별할 수 있다고 합니다.
'GA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Google Analytics 4) : 이벤트 (0) | 2023.05.11 |
---|---|
GA4(Google Analytics 4): 경로 탐색 보고서(1) (0) | 2023.05.10 |
GA4 : 특정 접근을 통계에서 제외하기 (관리자 접근 제외) (0) | 2023.05.09 |
GA4(google analytics 4) : 실시간 보고서 (0) | 2023.05.08 |
google analytics 적용해보기(tistory, github blog) (0) | 202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