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보고서란?
간단하게 말해서 우리의 웹서비스를 보는 사용자들을 어떤사람들인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는 보고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용자 보고서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서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특성 | 사용자의 거주지역(국가/시/군/구), 성별, 연령, 언어, 연령 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합니다. |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의 특성 | 플렛폼, 브라우저, 운영체제, 화면해상도, 앱버전 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합니다. |
저번 블로그에서는 사용자보고서 첫번째인 인구통계 보고서에 대해서 알아봤으니, 이번 블로그에서는 2번째 기술 보고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 보고서 1편은 아래 링크로 가면 보실 수 있습니다.
2023.05.15 - [GA] - GA4 : 사용자 보고서 (1) - 인구통계 보고서
GA4 : 사용자 보고서 (1) - 인구통계 보고서
사용자 보고서란? 간단하게 말해서 우리의 웹서비스를 보는 사용자들을 어떤사람들인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는 보고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용자 보고서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서 볼
datas2.tistory.com
1. 기술 개요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에 대한 여러가지 보고서들은 한눈에 보여줍니다.
기술 개요에서는 플랫폼별 사용자, 30분동안 사용자, 운영체제별 사용자, 플랫폼/기기 카테고리별 사용자, 브라우저 별 사용자, 기기 카테고리별 사용자, 화면 해상도별 사용자, 앱 버전 별 사용자, 최신 앱 버전 개요, 앱 안정성 개요, 기기 모델 별 사용자 보고들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개요에서 보면 1편과 다르게 사용자, 재 사용자, 새 사용자 선택 이외에 총수익이 추가적으로 생겼습니다. 총 수익에 대한 개념은 헷갈리지 않을 것이라 예상되고, 사용자, 재 사용자, 새 사용자에 대한 내용은 1편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 기술 세부정보
왼쪽 메뉴창에서 보고서 -> 기술 -> 기술 세부정보로 들어올 수도 있고 인구 통계 개요에서 각 보고서의 오른쪽 하단을 클릭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기술 세부정보에서는 아래 사진처럼 개요에서 볼 수 있던 사용자, 새 사용자 수 뿐만 아니라 참여 세션수, 참여율,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 평균 참여 시간 등의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편을 만들면서 생각난건데 저번 편에서 각 보고서의 측정항목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지 않았더라고요
기술 보고서들의 특정항목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와 같고 이는 인구 통계 보고서에서도 동일합니다.
사용자 | 웹 또는 앱을 방문한 사용자 수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사용자란 참여 세션이 있는 사용자 혹은 특정 이벤트, 매개변수를 수집한 사용자를 말합니다. 웹의 경우 fisrt_visit 이벤트 또는 engagement_time_msec 매개변수를 의미합니다. |
새 사용자 수 | 내 웹을 처음 실행한 사용자 수를 측정 |
참여 세션수 | 10초 넘게 지속 or 전환이벤트가 1회 이상 발생 or 페이지 또는 화면 조회수가 2회 이상인 세션수 |
참여율 | 참여 세션 비율, 참여 세션수/총 세션수로 계산 |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 | 사용자당 평균 참여 세션수로 참여 세션수 표에서 수집한 방식으로 참여 세션수를 수집해서 사용자로 나눈 값입니다. |
평균 참여 시간 | 웹사이트가 사용자 브라우저의 메인 상태 혹은 앱이 사용자 기기에서 켜져있던 시간의 평균입니다. 총 사용자 참여 발생 시간 / 활성 사용자수 로 계산합니다. |
이벤트 수 |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시킨 횟수입니다. |
전환수 | 사용자가 전환을 발생시킨 횟수입니다. |
3. 기술 보고서 종류
플랫폼 별 사용자 | 플랫폼(ex. 사용자가 웹사이트 또는 앱에 접근하는 방법을 Android, ios, 웹이 있음)별로 자신의 웹을 사용한 사용자들을 나타냅니다. |
지난 30분간 사용자 | 지난번 설명했던 실시간 보고서에 있는 30분간 사용자 보고서입니다. |
운영체제 별 사용자 | 웹 또는 앱을 방문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운영체제를 기준으로 사용자들을 나타냅니다. (ex. Android, Chrome, window, Machintosh(mac)) |
기기 카테고리 별 사용자 |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사용자들을 나타냅니다. (ex. Desktop, mobile, tablet) |
브라우저 별 사용자 | 사용자가 사용한 브라우저 기준으로 사용자들을 나타냅니다. (ex. chrome, firefox, safari) |
플랫폼 / 기기 카테고리 별 사용자 | 플랫폼과 기기 카테고리를 묶은것을 기준으로 사용자들을 나타냅니다. (ex. web/ desktop) |
화면 해상도 별 사용자 | 사용자의 화면 해상도 별로 사용자들을 나타냅니다. 이는 사용자 동작을 이해(사용자가 내 웹사이트를 어떻게 보고있는지), 반응형 웹 디자인 평가(어떤 해상도에서 웹 사이트가 잘 작동하지 않거나 레이아웃이 깨지는 등의 문제 식별), 장치 및 브라우저 호환성 확인(특정 화면 해상도에서 웹사이트가 예기치 않은 방식으로 작도하는 경우)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ex. 800x600, 1536x864) |
앱 버전 별 사용자 | 앱(Android, ios) 버전 별로 사용자 수를 나타냅니다. (ex. 2.6.63) |
기기 모델 별 개요 | 기기 모델별로 사용자들을 나타냅니다. (ex. SM-F721N, iphone) |
최신 앱 버전 개요 및 앱 안정성 개요와 같은 경우 추가적인 공부를 바탕으로 더 자세한 내용을 소개해 드리고자 아직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두가지에 대한 내용을 추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GA4'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문 경로 추적하기 (1) : 리퍼러(referrer) (1) | 2023.06.13 |
---|---|
GA4 : 참여도 보고서 (2) 페이지 및 화면, 방문 페이지 (0) | 2023.05.19 |
GA4(Google Analytics 4): 획득 보고서 (0) | 2023.05.17 |
GA4 : 참여도 보고서 (1) 이벤트,전환수 (0) | 2023.05.16 |
GA4 : 사용자 보고서 (1) - 인구통계 보고서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