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보고서란?
간단하게 말해서 우리의 웹서비스를 보는 사용자들을 어떤사람들인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는 보고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용자 보고서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서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특성 | 사용자의 거주지역(국가/시/군/구), 성별, 연령, 언어, 연령 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합니다. |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의 특성 | 플렛폼, 브라우저, 운영체제, 화면해상도, 앱버전 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합니다. |
이번 블로그는 이중에서 사용자 특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인구통계 보고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인구통계 개요
사용자의 특성에 대한 여러가지 보고서들은 한눈에 보여줍니다.
인구통계 개요에는 국가 별 사용자, 지난 30분 동안의 사용자, 시/군/구별 사용자, 성별 별 사용자, 관심분야별 사용자, 연령별 사용자, 언어별 사용자에 대한 보고서들이 보여집니다.
개요에서 보면 각 보고서 별로 사용자, 재 사용자, 새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따로따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여기서 헷갈렸던 것은 사용자와 새 사용자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명확한 구분이 잘 안갔습니다.
그래서 혹시 여러분들도 헷갈리실까봐 아래 표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서 적어놓겠습니다.
사용자 | 특정 기간 들어온 전체 사용자 수를 의미합니다. 특정기간 이전이 이미 한번 들어와 봤던, 아니면 특정 기간에 새로 들어왔던 전부 카운팅 합니다. |
재 사용자 | 특정 기간 동안 2번 이상 들어온 사용자 수를 의미합니다. |
새 사용자 | 특정 기간 동안 들어온 새 사용자 수를 의미합니다. 만약 설정한 기간 이전에 이미 한번 들어와봤던 사용자라면 새 사용자로 수집되지 않습니다. |
여기서 특정기간은 위에 인구통계 개요를 보면 나오는 오른쪽 상단에 설정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2. 인구통계 세부정보
왼쪽 메뉴창에서 보고서 -> 인구통계 -> 인구통계 세부정보로 들어올 수도 있고 인구 통계 개요에서 각 보고서의 오른쪽 하단을 클릭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인구 통계 세부 정보에서는 아래 사진처럼 개요에서 볼 수 있던 사용자, 새 사용자 수 뿐만 아니라 참여 세션수, 참여율,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 평균 참여 시간 등의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0
3. 인구통계 보고서 종류
국가 별 보고서 | 국가를 기준으로 국가별로 사용자수가 어떤지, 참여 세션수가 어떤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
지난 30분간 사용자 | 지난번 설명했던 실시간 보고서에 있는 30분간 사용자 보고서입니다. |
시/군/구 별 보고서 | 시/군/구를 기준으로 사용자들의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
성별 별 보고서 | 성별 별로 사용자들의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데이터가 적을 시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없음 으로 뜨는데 이것은 GA4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특정 사용자수가 넘어가야 데이터를 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
관심분야 별 보고서 |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대표하는 카테고리 별로 사용자들의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도 데이터가 적을 시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없음 으로 뜨는데 이것은 GA4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특정 사용자수가 넘어가야 데이터를 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
연령 별 보고서 | 연령 별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 역시 데이터가 적을 시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없음 으로 뜨는데 이것은 GA4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특정 사용자수가 넘어가야 데이터를 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
언어 별 보고서 |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별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
'GA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Google Analytics 4): 획득 보고서 (0) | 2023.05.17 |
---|---|
GA4 : 참여도 보고서 (1) 이벤트,전환수 (0) | 2023.05.16 |
GA4(Google Analytics 4): 경로 탐색 보고서(2) (0) | 2023.05.13 |
GA4 : 특정 접근을 통계에서 제외하기 (관리자 접근 제외) (2) (1) | 2023.05.12 |
GA4(Google Analytics 4) : 이벤트 (0)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