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GTM으로 사용자가 방문 경로를 찾아내는 이벤트를 심는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앞선 두 포스트를 통해 리퍼러가 무엇인지, GTM으로 어떻게 태그를 심어 GA4에서 이벤트로 조회되게 하는 지 이해하고 오시면 이번 포스트의 내용을 잘 따라오실 수 있을 겁니다
GTM으로 GA4 이벤트 생성하기
저번 포스트에서는 구글 태그 매니저, GTM이 어떤 일을 하는 지에 대해 알아봤었습니다. 태그는 목표의 소스 코드에 심겨 원하는 데이터를 뽑아오는 스크립트였고, 데이터를 가져오고자 하는 목
datas2.tistory.com
방문 경로 추적하기 (1) : 리퍼러(referrer)
오늘은 방문 경로를 추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방문자 수도 아닌, 방문 경로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러분이 여러분의 홈페이지를 홍보하기 위해 여러 웹사이트에 광고
datas2.tistory.com
방문 경로 추적(1) 포스트에서는 리퍼러가 'daum'을 포함하는 경우를 집계했었는데요, 이번에는 구글을 집계해보겠습니다.
1. 트리거 구성 설정
Q) 리퍼러가 포함하는 조건에, google 말고 더 자세히 쓰면 어떤 검색어로 들어왔는지까지 알 수 있지 않을까요?
A) 어떤 경우에는 맞고, 어떤 경우에는 틀립니다.
구글에서 블로그를 검색했을때, URL에는 제 검색어 등의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제 블로그를 클릭했을 떄, 리퍼러는 어떻게 될까요?
신기하게도, 부가 정보들이 다 떨어져있습니다.
다음에서 검색해볼까요?
다음의 경우에는, 원래의 URL이 그대로 referrer에 적용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 이유는 한국어가 UTF-8코드로 번역되어 URL에 남았기 때문입니다.)
구글에서는 개인 정보 보호의 이유로 referrer를 온전히 남기지 않고 있기 때문에, 검색어 추적 등의 이유로 referrer 설정을 하는 경우에 그 의도와 다르게 작동할 수도 있다는 점 기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태그 : GA4 이벤트 속성으로 태그를 구성
3. 사전에 만들어두었던 구성 태그와 트리거를 등록하고, GA상에서 집계될 이벤트 이름을 설정한 뒤 저장
4. GA에서 이벤트가 집계되는지 확인
앞선 포스트에서 많이 변경될 필요도 없이, 트리거를 조정하는 것 만으로 구글에서의 접근을 잡아내게 된 것이죠.
이처럼 GTM에서는, 많은 트리거들로 태그가 fired될 여러 상황을 가정할 수 있습니다.
또, 변수 설정을 통해 이벤트 안의 매개변수에 값을 넣을 수도 있었죠.
GA4 : 버튼 클릭 시 텍스트값 받아오기
저번 블로그에서는 버튼 클릭 이벤트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었죠! 오늘은 어떠한 텍스트를 입력하고 버튼을 클릭했을때 텍스트에 입력한 값이 이벤트의 매개변수로 들어올 수 있도록 만
datas2.tistory.com
트리거와 변수, 태그의 매개변수를 조정함으로써, GTM은 여러분들이 웹페이지에서 원하는 값들과 원하는 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는 태그를 만들어 클릭 한 번으로 심게 해 주고 있습니다. GTM의 변수와 트리거의 조작에 익숙해진다면 웹페이지의 모든 정보는 여러분이 갖게 되는 거죠.
이번 포스트에서는 방문 경로 추적 이벤트 생성과 GTM으로 태그를 심어 이벤트를 생성하는 등의 복습을 진행했습니다.
'GA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 : 삽입된 유튜브 시청 추적하기 (0) | 2023.06.29 |
---|---|
GA4: 탐색 보고서 만들기(2) (0) | 2023.06.28 |
GA4 : 앱에 FIREBASE 등록하기 (0) | 2023.06.27 |
GA4: 탐색 보고서 만들기(1) (0) | 2023.06.25 |
GTM으로 GA4 이벤트 생성하기 (0) | 202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