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유입경로 탐색 보고서, 경로 탐색 보고서 등 GA4가 제공하는 탐색 보고서가 아닌 원하는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탐색 보고서 만들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게시글은 GA4: 탐색 보고서 만들기(1)과 GA4: 탐색 보고서 만들기(2)로 나누어 작성되었습니다.
탐색으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이 제공되는 보고서들과 함께 자유형식 혹은 새 탐색 분석 만들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처음 탐색 보고서 만들기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은 예시 변수들이 주어지는 자유 형식 보고서에 들어가 여러 설정을 바꾸고 적용해보며 익숙해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제 웹페이지의 이벤트를 기준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보고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먼저, 탐색 보고서를 만들기위해 필요한 용어와 사용법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새 탐색 보고서 만들기(비어있음)을 클릭합니다.
아래는 처음 새 보고서를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화면으로 모든 항목들이 비어있습니다.
여기서 변수는 보고서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준 및 항목을 가져오는 것이며 탭 설정은 우측에 빈 화면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세그먼트
세그먼트는 GA4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건이나 필터입니다. 세그먼트를 사용하면 특정 사용자 그룹 또는 행동 패턴을 정의하여 해당 그룹의 데이터만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측정기준
측정기준은 GA4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의 항목을 의미합니다. 측정기준은 사용자 및 세션과 관련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 이벤트, 전환 등의 특정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 측정항목
측정항목은 측정기준과 함께 데이터를 분석할 때 데이터를 그룹화하거나 세분화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입니다. 측정항목은 보고서에서 데이터를 세분화하여 원하는 관점으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쉽게 말하자면 가장 왼편에 위치한 변수는 대시보드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를 준비해두는 것이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변수에 생성한 기준 및 항목은 직접 탭 설정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거나 두 번 클릭시 적용됩니다.
또한,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의 차이점에 대해 정의하자면 측정항목과 달리 측정기준은 수치적인 측면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다음 글은 GA4: 탐색 보고서 만들기(2)로 1편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제휴문의 이벤트 탐색 보고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GA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TM으로 GA4 이벤트 생성하기(2) : 사용자 접근 경로 파악 (0) | 2023.06.27 |
---|---|
GA4 : 앱에 FIREBASE 등록하기 (0) | 2023.06.27 |
GTM으로 GA4 이벤트 생성하기 (0) | 2023.06.24 |
GA4 : 방문자의 scroll 깊이 추적하기 (0) | 2023.06.23 |
GA4 : 구글 태그 매니저(GTM) (0)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