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트에서는 구글 태그 매니저, GTM이 어떤 일을 하는 지에 대해 알아봤었습니다.
태그는 목표의 소스 코드에 심겨 원하는 데이터를 뽑아오는 스크립트였고, 데이터를 가져오고자 하는 목표에 태그를 쉽게 심게 하는 것이 GTM이었죠.
그렇다면 오늘은 GTM에서 어떻게 작업하는 지 알아봅시다.
GA4에서 이벤트 생성이 어려웠던 분들은 이번 포스트를 보고 난 후 GTM을 통해 더 쉽게 이벤트를 목표에 심고, GA4를 통해 열람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GA4 : 구글 태그 매니저(GTM)
앞선 포스트에서, GA4는 이벤트를 직접 생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벤트를 생성하는 일은 오직 GA로 국한되지 않습니다. 오늘은 이벤트를 생성하고 표적 웹사이트에 적용시키
datas2.tistory.com
컨테이너를 생성하지 않은 분들은 저번 포스트를 참고하여 컨테이너를 생성해주세요.
작업공간 설정
컨테이너를 생성하면 기본 작업공간(default workspace)가 생기는데요, 오늘은 이 위에서 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좌측 메뉴 중, 중요하게 사용되는 개념은 세 가지입니다.
먼저 태그는, 우리가 목표하는 소스 코드에 넣을 스크립트의 형식을 말합니다. 어떤 데이터를 수집할지 알려주며, 목표 사이트에서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트리거는 언제 태그가 작동할지를 나타냅니다. 육상 경기에서 총을 쏘면 선수들이 날아가는것처럼, 트리거로 설정해둔 행동이 일어나면 태그가 작동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변수는 데이터가 담기는 공간을 나타냅니다.
기본 제공 변수와 사용자 지정 변수로 나뉘며, 기본 제공 변수는 수정을 통해 자신이 사용할 기본 제공 변수를 on/off 하며,
사용자 지정 변수는 Javascript를 통해 어떤 값을 저장할 지 능동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죠.
태그 삽입 전, 어떤 이벤트를 넣을 지 결정해야겠죠?
간단하게, 제가 위에 링크를 걸어 둔 포스트에 접근하는 사람 수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태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1. 트리거 생성
1. 트리거 - 새로 만들기 클릭
2. 트리거 유형으로 -페이지 뷰 선택
3. 트리거 세부구성 진행
일부 페이지뷰 + Page URL + 포함 + 목표 URL 설정한 후 저장
2. 태그 구성 설정
태그가 GA4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1. 태그-새로 만들기
2. 태그 유형 - GA4 구성 선택
3. 측정 ID 기입 후 저장
(측정 ID는 연결하고자 하는 GA4의 관리-데이터스트림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3. 태그 설정
1. GA 이벤트로 태그 유형 선택
2.구성 태그를 앞서 만든 GA4 구성 태그로, 트리거를 앞서 만든 트리거로 설정
이벤트 이름 설정 후 저장
3. 태그 이름까지 설정하면 마무리됩니다
작업공간 우측 상단의 미리보기를 통해 이벤트가 잘 작동하는지 살필 수 있고, 제출을 통해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에서 이벤트를 발생시켜도 GA4상에 이벤트로 기록됩니다.)
GTM은 제출할때마다 변경사항을 기록해둘 수 있어 어떤 점이 바뀌었는지 버전 확인에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GTM을 이용하여 목표 페이지에 GA4에도 전송되는 태그를 달아보았습니다.
'GA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 : 앱에 FIREBASE 등록하기 (0) | 2023.06.27 |
---|---|
GA4: 탐색 보고서 만들기(1) (0) | 2023.06.25 |
GA4 : 방문자의 scroll 깊이 추적하기 (0) | 2023.06.23 |
GA4 : 구글 태그 매니저(GTM) (0) | 2023.06.20 |
GA4 : 버튼 클릭 시 텍스트값 받아오기 (0)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