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포스트에서, GA4는 이벤트를 직접 생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벤트를 생성하는 일은 오직 GA로 국한되지 않습니다. 오늘은 이벤트를 생성하고 표적 웹사이트에 적용시키는 또 다른 방법인 구글 태그 매니저(이하 GTM)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태그가 뭔가요?
GTM에서 사용하는 태그란, 자바스크립트로 이뤄진 코드 조각입니다. 태그는 웹을 구성하는 스크립트로 삽입되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일을 하게 됩니다.
태그가 이벤트에 맞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목표하는 웹이나 앱 서비스의 스크립트에 존재해야 합니다. 하지만 특정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수정하고 싶을 때 마다 스크립트를 뜯어서 고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할 겁니다.
왜 GTM인가
GTM은 이런 번거로운 작업을 줄여줍니다. 이름이 태그 매니저인 이유도 여기에 있죠.
GTM은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계정, 컨테이너 그리고 태그 순이며 하나의 계정(회사)에 여러 컨테이너(도메인)들이 담겨있고, 여러 컨테이너에는 원하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태그들이 달려있는 형식입니다.
웹사이트별로 생성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태그' 라는 태그가 존재합니다.
GTM이 소스코드를 건드리지 않고 태그를 관리해 줄 수 있게 하는 태그이며, 이 태그만큼은 직접 소스코드에 삽입해야 합니다. 컨테이너 태그는 웹사이트에 심어지는 로봇이고, GTM을 통해 로봇이 소스코드 내에서 동작하는 것이죠.
GTM 기본 설정하기
우선 구글 태그 매니저에 접속합니다.
Google 애널리틱스
로그인 Google 애널리틱스로 이동
accounts.google.com
1. 계정을 생성합니다
계정을 처음 생성하는 경우, 컨테이너를 함께 생성하게 됩니다. 이후에 컨테이너를 더 생성하고 싶다면 계정 설정에서 컨테이너를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2.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나면,컨테이너 태그를 소스 코드에 삽입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안내에 따라 컨테이너 태그를 설정해주면, 컨테이너와 웹(앱)이 연결되며 기본적인 설정이 끝나게 됩니다.
GTM은 컨테이너 태그를 통해 소스코드의 직접적인 수정 없이도 태그를 삽입하여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GTM과 GA는 따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함께 사용한다면 그 시너지가 더욱 빛이 나는 프로그램들인데요, 다음번에는 GTM으로 이벤트를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며 수집된 데이터를 GA로 전송하도록 설정하고, 방문 경로를 추적하는 이벤트를 직접 심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A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TM으로 GA4 이벤트 생성하기 (0) | 2023.06.24 |
---|---|
GA4 : 방문자의 scroll 깊이 추적하기 (0) | 2023.06.23 |
GA4 : 버튼 클릭 시 텍스트값 받아오기 (0) | 2023.06.20 |
GA4: UTM 파라미터를 이용한 유입 경로 추적 (1) | 2023.06.17 |
GA4 : 버튼 입력 이벤트 생성하기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