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회사에서, 개발중인 웹 페이지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 파악하고 싶어했다.
웹 페이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사람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플랜을 대신 짜주는 케어플래너들이 플랜을 구성하는 웹페이지이다.
이때까지 공부했던 GA와 약간의 JS구문을 이용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이벤트들이 어떤 게 있을까 생각해보았는데,
오늘은 상품결합 페이지에 관해 생각해보았던 것을 써 보려 한다.
상품결합 페이지는 케어플래너가 의도에 맞는 계획을 작성하여 사람들을 모집하기 전에, 플랜과 함께 사용하면 좋을 건강기능식품을 추가하는 페이지이다.
여기서 어떤 이벤트를 추가하면 좋을까 고민해보았는데,
가장 처음 생각해낸 것은 저장 버튼과 동시에 추가된 건강기능식품의 이름을 이벤트로 하여 개수만큼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이벤트 생성을 통해 어떤 건강기능식품이 얼마나 생기는지를 잡아내고 싶었는데, 곧바로 문제가 있는 생각임을 깨달았다.
수정 후에 저장되는 경우, 그 수량이 줄어도 실질적으로는 +된 값으로 이벤트계산이 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얼마나 잡히는지는 서버에 그 정보가 쌓일 것이라 예측하고 보류해 두었다.
그 후로, 회사에서 간단히 어떤 사용자 행동을 파악하면 좋을지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실행에 옮겼다.
1. 제품의 어느 곳이 클릭되는가
제품은 간단하게 이미지와 상품명/상품가격으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사용자들이 어떤 부분을 클릭하여 선택하는 지 분석할 수 있었다.
이름과 가격까지 세분화하고 싶었으나, 구조상 가격만 따로 분리하고, 이름 쪽 클릭만을 분리할 수는 없었기에 보류했다.
2. 제품 클릭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
현재 선택된 제품을 다시 클릭하면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보통의 경우를 생각했을 때, 제품을 여러번 클릭하는 경우는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1) 상품을 삭제(unclick)하는 경우
(2) 상품을 추가하려는 경우
일단 상품을 중복 추가하려는 경우를 이벤트로 생성했다.
그 후에 수량을 늘리는 경우와, 상품 삭제 버튼을 누르는 경우를 각각 추가하여 GA상에서 경로 탐색으로 살펴본다면
사용자들이 중복 클릭을 하는 이유에 대해 파악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3.저장을 누를까?
이 부분은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
플랜의 식품구성을 열심히 바꾼 후에 저장하지 않고 다른 일 하러 가는 경우가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우측 상단의 저장 버튼이 활성화된다면, 기존 구성과 달리 변경이 있는 케이스인데,
단순히 뒤로가는 것 뿐만 아니라 이때 생기는 모든 페이지 변화를 잡아낼 수 있다면 저장 버튼이 얼마나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 수 있고,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시작하기 (0) | 2023.08.11 |
---|---|
bigquery : 사용자, 세션 식별하기 (0) | 2023.08.08 |
Google Search Console을 이용해 블로그 유입량 늘리기 (0) | 2023.07.20 |
SPA(Single Page Application) 란? (0) | 2023.07.16 |
Google ads : 타겟팅 설정하기,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0)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