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쓴 블로그 글이 구글에서 검색이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실제로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어떤 글은 구글에서 검색하면 보이는 반면에 다른 글은 전혀 찾을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꾸준히 글을 쓰는 데도 검색 유입이 늘지 않아 의문인 분들도 있었을 텐데요. 이번 글을 통해 구글 유입량을 늘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검색 누락 확인 방법 / 검색 누락 이유는?
검색 누락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검색하여 블로그 글을 찾을 수도 있지만 순위에서 밀린다면 직접 찾는 것은 번거로운 일일 것 입니다.
이때, 블로그 글의 URL을 검색하여 검색 누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A4 : 참여도 보고서 (2) 페이지 및 화면, 방문 페이지
저번 참여도 보고서 포스팅에서는, 이벤트와 전환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페이지 및 화면 탭 그래서 오늘은 페이지 및 화면과 방문 페이지 탭에는 어떤 기능이 있는지, 어떤 일을 할 수
datas2.tistory.com
위 URL을 구글에 검색해 보겠습니다.
해당 블로그에 색인이 생성된 다른 게시글이 연관되어 뜨기는 하지만 실제 URL의 게시글은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색인이 생성된 경우에는 URL로 검색 시 아래와 같이 블로그 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검색이 누락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구글에서는 서치콘솔(Search console)에 등록되어 있다면 크롤러가 방문하고 이후 자동으로 색인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크롤러의 방문 주기는 알 수 없으며 실제로 어느 정도 기간이 흘러야 하는지 명시된 것 또한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 직접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해 수동으로 색인을 요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 구글 서치 콘솔 색인 생성
구글 서치 콘솔에 들어가 색인 생성 카테고리의 페이지를 클릭합니다.
아래로 스크롤하면 다음과 같이 페이지 색인이 생성되지 않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색인이 생성되지 않은 페이지에 대한 색인 요청을 위해 가장 아래에 있는 발견됨-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을 클릭합니다.
아래에서 각 URL을 클릭하고 URL 검사를 합니다.
URL 검사를 한 후 색인 생성 요청을 클릭합니다.
구글에서는 색인을 생성할 수 있는지 테스트 후 요청을 제출합니다.
색인 생성 요청됨이라는 안내가 뜨면서 대기열에 추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동으로 색인 요청을 해놓았으나 바로 되는 것은 아니고 이후에도 색인 생성이 요청되었는지, 색인이 생성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확인한다면 블로그 유입량을 늘릴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색인요청은 하루에 한정된 개수만큼 가능하기 때문에 꾸준히 색인 생성을 요청하고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gquery : 사용자, 세션 식별하기 (0) | 2023.08.08 |
---|---|
웹페이지에서 분석에 쓸만한 데이터 만들기 : 개발중인 웹서비스를 바탕으로 (0) | 2023.07.27 |
SPA(Single Page Application) 란? (0) | 2023.07.16 |
Google ads : 타겟팅 설정하기,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0) | 2023.07.07 |
로컬 스토리지를 활용해 사용자 재방문 확인하기 (0) | 2023.07.05 |